1. windows setx 변수명 "저장할값" 2. ubuntu vi /etc/environment 변수명="값" 위와 같은 형식으로 작성하고 저장 3. centos vi /etc/profile.d/myenvvars.sh export 변수명="저장할값" 위와 같은 형식으로 작성하고 저장
우선 sysctl 이란 RedHat 6.2부터 포함된 커널의 파라미터 값들을 조절하기 위한 리눅스 OS에서 지원하는 하나의 유틸 기능이다. sysctl을 이용하여 값을 변경할 경우 시스템이 충돌(Crash)이 발생할 위험요소가 많이 있기 때문에 항상 주의하고 사용해야한다. sysctl.conf 파일은 커널에서 사용할 파라미터 값들을 미리 정의해놓을 수 있는 파일이다. sysctl.conf에 커널의 파라미터값을 설정하면 OS가 다시 부팅되더라도 해당값으로 덮어씌워지면서 적용되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적용되어진다는 점이 편리하기 때문에 sysctl.conf 파일을 수정할이 종종 생긴다. #참고 커널의 파라미터란?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변수들을 의미하는데 쉽게 생각하면 windows에 Java같은 걸 설치하..
Base point : OS 개념 커널을 설명하기 위해 일단 운영체제(OS : OperatinSystem)에 대한 개념을 이미 알고 있다는 가정하에서 글을 작성해본다. 모든 컴퓨터 머신 즉, 일반적인 데스크탑 PC, 스마트폰 ,태블릿 더 나아가 서버 장비들에는 기본적으로 메인보드가 존재하는데 이 메인보드의 이피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칩안에 바이오스(BIOS)라는 펌웨어(firmware)가 존재한다. BIOS = firmware 라고 기억하자. ※. 펌웨어? 갤럭시던 아이폰이던 스마트폰을 사용했을 때 자주 접했을 단어인 펌웨어 (firmware) 이는 제어 프로그램의 일종으로 하드웨어 내부에 위치한 소프트웨어이다. 이러한 펌웨어는 제품 생산시에 탑재된 이후에는 해당 프로그램을 변경하지 않는 것..
https://gonigoni.kr/posts/vscode-oh-my-zsh/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