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커설치하기 1. Ununtu Linux 일 때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docker.io sudo in -sf /usr/bin/dokcer.io /usr/local/bin/docker 2. CentOS 일 떄 #도커 설치 sudo yum install docker #도커 버전확인 sudo docker version #도커 실행 sudo service docker start # 부팅시 자동 실행 설정 sudo chkconfig docker on #도커 실행상태확인 systemctl status docker 위 이미지처럼 서비스가 중지된 상태라면 도커 실행 커맨드를 다시 한번 실행! 도커가 잘실행 되고 있다면 해당 커멘드를 실행했을 때 아래와 같이 출력된..
문득 프로젝트를 보다가 왜 jsp 파일을 WEB-INF 밑에 두는 걸까? 하고 궁금해서 구글링을 해보았는데 마침 이와 관련되어서 okky에서 핫하게 논쟁을 벌였던 흔적의 게시글을 찾았다. https://okky.kr/article/389463 OKKY | JSP 공부 중 WEB-INF 폴더안에 jsp 파일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WEB-INF 폴더안에 view 폴더를 만들어 jsp 파일을 저장하고 실행하면 오류가 나고 WEB-INF밖인 WebContent 폴더에 jsp 파일을 만들면 실행이 됩니다. 예제나 다른분들 보면 WEB-INF 폴더안에 view 폴더 생성 okky.kr 결국 내용을 간추려서 핵심만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WEB-INF 폴더안은 일반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패스를 넣어서 접근할수가 없기 ..
https://docs.docker.com/desktop/install/windows-install/ Install Docker Desktop on Windows docs.docker.com 우선 도커가 설치되어있다는 가정하에 정리한다. 만약 도커가 설치되어있지 않다면 해당 페이지에서 각 운영체제에 맞는 Docker 설치 파일을 받는다. 1. 도커파일 작성 도커파일은 레이어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빈번하게 수정되는 것일 수록 나중에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에 소스파일이 변경되서 COPY src ./ 이 달라지게 될 떄 재작성되는 부분이 줄어듦으로 이미지를 만드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2. 도커 이미지 빌드 docker build -t 이미지이름설정 -f 도커파일경로 fun-docker ..
Docker란 무엇인가? Container Engeine 중에서 가장많이 쓰이는 녀석이다. 그럼 컨테이너(Container)란 무엇인가? 컨테이너는 하나의 리눅스 프로세스가 마치 전용 서버에서 동작하고 있는 것 같은 분리 상태를 만들어 낸다. 컨테이너와 비교되는 것이 가상 서버인데 가상서버는 가상화 소프트웨어(ex : VMware, VirtualBox , Hyper -V 등)를 사용하여 마치 한대의 전용 서버가 있는 것처럼 이용해줄 수 있게 해준다. 한대의 머신에서도 여러 대의 가상 서버를 가동할 수 있어 하드웨어 구입이나 설치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가상화 소프트웨어를 하이퍼바이저(HyperVisor)라 부른다. 그런데 도커는 이런 가상서버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것이라고 볼 수..
클라이언트에서 localhost:8080/hi-spring url로 요청이 들어왔다고 치자 그럼 톰켓서버에서 해당 url 요청이 들어왔다고 Spring Container에다가 던져준다. 스프링컨테이너에 있는 Controller에서 매핑되는게 있는데 그 매핑되는 녀석이 @ResponseBody라는 어노테이션이 안붙어있을때는 ViewResolver에게 던져서 템플릿엔진으로 처리하게 되는데 @ResponseBody 어노테이션이 붙어있으면 데이터 그대로 내려주게된다. 만약 String 문자를 내려주면 그대로 내려주는데 만약 객체를 내려주면 json방식으로 내려주게된다. 그래서 @ResponseBody 어노테이션이 붙엇을때 HttpMessageConverter라는 녀석이 동작한다. 즉 객체를 내려주는 경우에는 H..
개발자들이 소스에 직접 값을 하드 코딩하는 경우가 종종있다. 하지만 이렇게 하드 코딩할 경우 하드 코딩된 변수가 많아지면 유지보수도 힘들어질 뿐더러 암호화에 사용되는 key값들을 하드코딩하는 경우 보안적인 측면에서 안전하지 못하다. 따라서 이러한 하드코딩이 필요한 변수들을 보통 properties 파일로 빼놓고 관리하는데 이 properties파일은 HashTable을 상속받아 구현한 컬렉션의 한 종류로서 key(object), value(object) 형태가 아니라 key(string), value(string) 형태로 저장하는 보다 간단한 컬렉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