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32464267411?cat_id=50005624&frm=PBOKPRO&query=%EC%99%84%EB%B2%BD%ED%95%9C+%EB%B3%B4%EA%B3%A0%EC%84%9C+%EC%93%B0%EB%8A%94+%EB%B2%95&NaPm=ct%3Dmb78bhls%7Cci%3D04c0baf9c07d775684f924c8dbd1aeddafa03790%7Ctr%3Dboknx%7Csn%3D95694%7Chk%3D2ae4e11f81a3e0eed97c1fae557f394fdbde5828 완벽한 보고서 쓰는 법 : 네이버 도서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search.shopping.naver.com 이 책의 맘에 드는 문장..
1. 시간복잡도와 공간 복잡도란? 시간 복잡도 - 시간 복잡도란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산횟수를 말한다. 공간복잡도 - 알고리즘이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사용하는 메모리의 공간의 크기를 의미한다. 2. 시간 복잡도 표기법 시간 복잡도는 아래와 같이 3가지의 표기법이 존재하지만 주로 사용되는 표기법은 빅-오(BigO-notation)표기법을 사용하여 표현한다. 왜냐면 수행 시간을 계산할 때 worst case를 기준으로 만족하는 수행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서이다. 빅-오메가(best case) : 최선일 때의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 빅-세타(average case) : 보통일 때의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 빅-오 (worst case) : 최악일 때의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 알고리즘의 최..
1. WITH문의 필요성 이미 작성된 Mapper에 Query를 살펴보다보면 subquery를 남발하여 작성된 쿼리를 볼 수 있다. subquery를 조건식에 한두번씩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남발하게되면 가독성이 떨어지고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같은 쿼리임에도 불구하고 재사용할 수가 없어 동일한 쿼리를 또 작성해놓은 어지러운 쿼리가 탄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방법으로 WITH문이 존재한다. WITH문은 SQL에서 임시 결과 집합, 보통 이를 공통 테이블식(CTE: Common table Expression)이라 부르는 것을 생성하여 다른 쿼리에서 사용 할 수 있게해주는 아주 유용한 녀석이다. 게다가 ANSI SQL 표준을 만족하는 문법이므로 거의 모든 DBMS에서 사용가능하다. 2. WI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