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sysctl 이란 RedHat 6.2부터 포함된 커널의 파라미터 값들을 조절하기 위한 리눅스 OS에서 지원하는 하나의 유틸 기능이다. sysctl을 이용하여 값을 변경할 경우 시스템이 충돌(Crash)이 발생할 위험요소가 많이 있기 때문에 항상 주의하고 사용해야한다. sysctl.conf 파일은 커널에서 사용할 파라미터 값들을 미리 정의해놓을 수 있는 파일이다. sysctl.conf에 커널의 파라미터값을 설정하면 OS가 다시 부팅되더라도 해당값으로 덮어씌워지면서 적용되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적용되어진다는 점이 편리하기 때문에 sysctl.conf 파일을 수정할이 종종 생긴다. #참고 커널의 파라미터란?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변수들을 의미하는데 쉽게 생각하면 windows에 Java같은 걸 설치하..
SSL? TLS? 무슨 차이일까? : Transport Layer Security vs Secure Sockets Layer 결론은 둘다 같은 말이다. 2023년 현재는 지원이 종료된 익스플로러가 개발되기 이전에 모자이크 웹브라우저를 개발했던 미국의 인터넷 소프트웨어 및 통신 산업을 하는 넷스케이프라는 회사에 의해서 SSL이 발명되었고 이것이 점차 폭넓게 사용되다가 표준화 기구인 IETF에 의해서 TLS라는 이름으로 바뀌게 되었다. 처음에는 TLS와 SSL이 다른건가? 뭔차이지? 하는 생각에 알아보았는데 둘 다 같은 기술을 지칭하는 것이여서 허무했다. TLS 1.0은 SSL 3.0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2023년 현재는 TLS 1.3 버전까지 출시되었다. 그리고 TLS 1.0과 1.1 버전 조차 취약한..
빌드관리 도구란? 우리가 프로젝트에서 작성한 Java 코드에 더불어서 각종 xml, propertise, jar 파일 등을 JVM이나 WAS가 인식할 수 있도록 빌드해주는 도구들로 대표적인게 maven과 gradle이다. Java code만 빌드할거라면 이클립스나 IntelliJ와 같은 IDE 빌드 도구만을 이용해도 되지만 프로젝트가 거대해질수록 xml, propertise, jar 등이 많이 추가되는데 이럴때 유용한 도구들이 바로 maven과 gradle이다. Maven (Making the bulid process easy) 메이븐의 풀네임은 'Apache Maven'으로 2004년에 발표되었고 2023년을 기준으로 안정화된 Maven의 버전은 3.8.7로 2022년 12월 24일에 릴리즈되었다. M..
Elasticsearch는 루씬(Lucene) 기반의 오픈소스 검색엔진이다. Elasticsearch는 JSON 기반으로 문서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으며 분석 작업도 가능하다. Elasticsearch의 특징 1. 준실시간 검색 시스템 Elasticsearch는 실시간이라고 생각될 만큼 색인된 데이터가 빠르게 검색된다. ES는 환경설정값에서 refresh_interval 이라는 것이 있는데 얼마나 빨리 검색될 수 있도록 할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는 값을 기본값으로 1초로 지정되어있다. 2. 고가용성을 위한 클러스터 구성 한 대 이상의 노드로 클러스터를 구성하여 높은 수준의 안정성을 달성하고 부하 분산이 가능하다. 3. 동적 스키마 생성 RDB와는 다르게 입력될 데이터들에 대해 미리 스키마를 정의하지 않아..
https://teambtd.tistory.com/5 MySQL 접속 원리에 관한 고찰(feat. 프로젝트) 어우 솔루션에 VIEW 테이블을 가지고 있어서 이놈 저놈 오픈해 달라는 요청이 많다. 어쨋든, DB에 접근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 접속 Tool 의 활용 (PLSQL, Toad, Orange, dbeaver, HeidiSQL, SQL Developer 등등...) - teambtd.tistory.com 리눅스에 yum이나 apt로 설치하는게아니라 압축파일을 직접풀어서 mariadb를 설치하면서 실행 sock링크를 걸어줘야 한다고했는데 ln -s /apps/mariadb/tmp/mysql.sock /tmp/mysql.sock 이런식으로 심볼릭링크를 걸어주는데 ( 심볼릭링크는 바로가기와 비슷한 개념..
Base point : OS 개념 커널을 설명하기 위해 일단 운영체제(OS : OperatinSystem)에 대한 개념을 이미 알고 있다는 가정하에서 글을 작성해본다. 모든 컴퓨터 머신 즉, 일반적인 데스크탑 PC, 스마트폰 ,태블릿 더 나아가 서버 장비들에는 기본적으로 메인보드가 존재하는데 이 메인보드의 이피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칩안에 바이오스(BIOS)라는 펌웨어(firmware)가 존재한다. BIOS = firmware 라고 기억하자. ※. 펌웨어? 갤럭시던 아이폰이던 스마트폰을 사용했을 때 자주 접했을 단어인 펌웨어 (firmware) 이는 제어 프로그램의 일종으로 하드웨어 내부에 위치한 소프트웨어이다. 이러한 펌웨어는 제품 생산시에 탑재된 이후에는 해당 프로그램을 변경하지 않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