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_study_clip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Data_study_clip

  • 분류 전체보기 (242)
    • 빅데이터 (9)
    • R + 통계 (7)
    • Python +머신러닝 (8)
    • DB + SQL (23)
    • 네트워크 (12)
    • Java (45)
    • C# (3)
    • JSP(JavaServerPage) (6)
    • HTML + CSS (4)
    • JavaScript (15)
    • JavaFx (1)
    • Git (9)
    • OS (7)
    • Python (0)
    • AI (5)
    • 도서 (7)
    • 경영 (7)
    • Spring (31)
    • ElasticSearch (12)
    • DesignPattern (2)
    • Docker (4)
    • React (11)
    • 개인정보보호 (2)
    • Spring Security (1)
    • Backend (5)
    • FreeMarker (1)
    • NodeJS (1)
    • 자료구조+알고리즘 (1)
    • 일기 (1)
  • 홈
  • 태그
  • 방명록
Open SSL? TLS? 무슨 차이일까?

Open SSL? TLS? 무슨 차이일까?

SSL? TLS? 무슨 차이일까? : Transport Layer Security vs Secure Sockets Layer 결론은 둘다 같은 말이다. 2023년 현재는 지원이 종료된 익스플로러가 개발되기 이전에 모자이크 웹브라우저를 개발했던 미국의 인터넷 소프트웨어 및 통신 산업을 하는 넷스케이프라는 회사에 의해서 SSL이 발명되었고 이것이 점차 폭넓게 사용되다가 표준화 기구인 IETF에 의해서 TLS라는 이름으로 바뀌게 되었다. 처음에는 TLS와 SSL이 다른건가? 뭔차이지? 하는 생각에 알아보았는데 둘 다 같은 기술을 지칭하는 것이여서 허무했다. TLS 1.0은 SSL 3.0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2023년 현재는 TLS 1.3 버전까지 출시되었다. 그리고 TLS 1.0과 1.1 버전 조차 취약한..

  • format_list_bulleted 네트워크
  • · 2023. 1. 28.
  • textsms
빌드 관리도구 - Maven과 Gradle

빌드 관리도구 - Maven과 Gradle

빌드관리 도구란? 우리가 프로젝트에서 작성한 Java 코드에 더불어서 각종 xml, propertise, jar 파일 등을 JVM이나 WAS가 인식할 수 있도록 빌드해주는 도구들로 대표적인게 maven과 gradle이다. Java code만 빌드할거라면 이클립스나 IntelliJ와 같은 IDE 빌드 도구만을 이용해도 되지만 프로젝트가 거대해질수록 xml, propertise, jar 등이 많이 추가되는데 이럴때 유용한 도구들이 바로 maven과 gradle이다. Maven (Making the bulid process easy) 메이븐의 풀네임은 'Apache Maven'으로 2004년에 발표되었고 2023년을 기준으로 안정화된 Maven의 버전은 3.8.7로 2022년 12월 24일에 릴리즈되었다. M..

  • format_list_bulleted Backend
  • · 2023. 1. 22.
  • textsms
Elasticsearch 기본개념 정리 (1) : Elasticsearch의 개념과 특징, 노드(node) 그리고  클러스터(cluster)에 대해서

Elasticsearch 기본개념 정리 (1) : Elasticsearch의 개념과 특징, 노드(node) 그리고 클러스터(cluster)에 대해서

Elasticsearch는 루씬(Lucene) 기반의 오픈소스 검색엔진이다. Elasticsearch는 JSON 기반으로 문서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으며 분석 작업도 가능하다. Elasticsearch의 특징 1. 준실시간 검색 시스템 Elasticsearch는 실시간이라고 생각될 만큼 색인된 데이터가 빠르게 검색된다. ES는 환경설정값에서 refresh_interval 이라는 것이 있는데 얼마나 빨리 검색될 수 있도록 할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는 값을 기본값으로 1초로 지정되어있다. 2. 고가용성을 위한 클러스터 구성 한 대 이상의 노드로 클러스터를 구성하여 높은 수준의 안정성을 달성하고 부하 분산이 가능하다. 3. 동적 스키마 생성 RDB와는 다르게 입력될 데이터들에 대해 미리 스키마를 정의하지 않아..

  • format_list_bulleted ElasticSearch
  • · 2022. 12. 25.
  • textsms

Mysql DB - 접속원리

https://teambtd.tistory.com/5 MySQL 접속 원리에 관한 고찰(feat. 프로젝트) 어우 솔루션에 VIEW 테이블을 가지고 있어서 이놈 저놈 오픈해 달라는 요청이 많다. 어쨋든, DB에 접근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 접속 Tool 의 활용 (PLSQL, Toad, Orange, dbeaver, HeidiSQL, SQL Developer 등등...) - teambtd.tistory.com 리눅스에 yum이나 apt로 설치하는게아니라 압축파일을 직접풀어서 mariadb를 설치하면서 실행 sock링크를 걸어줘야 한다고했는데 ln -s /apps/mariadb/tmp/mysql.sock /tmp/mysql.sock 이런식으로 심볼릭링크를 걸어주는데 ( 심볼릭링크는 바로가기와 비슷한 개념..

  • format_list_bulleted DB + SQL
  • · 2022. 12. 21.
  • textsms

React - utils.ts:781 Uncaught Error: useHref() may be used only in the context of a <Router> component.

문제 상황 리액트로 페이지 이동을 할 때 보통 Router를 통해서 페이지 네비게이션을 하는데 이때 utils.ts:781 Uncaught Error: useHref() may be used only in the context of a component. 이라는 오류를 만났다. 마침 스택오버플로우에 나와 똑같은 현상을 겪은 사람이 질문을 올려줬고 정확하게 답변해준 사람이 있었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0220413/error-usehref-may-be-used-only-in-the-context-of-a-router-component-it-wor Error: useHref() may be used only in the context of a component...

  • format_list_bulleted React
  • · 2022. 11. 30.
  • textsms

UI/UX - 패스워드 없이 로그인을 쉽게 만드는 UX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400/ 패스워드 없이 로그인을 쉽게 만드는 UX란? | 요즘IT 통계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근로자들은 일평생의 10시간 정도를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데에 사용한다고 한다. 이는 연간 5200만 달러 정도의 자원 낭비로 이어진다. 비밀번호를 기억하고 입력하는 yozm.wishket.com

  • format_list_bulleted 카테고리 없음
  • · 2022. 11. 13.
  • textsms

BIOS? 펌웨어? 커널은 뭐야? - 용어정리

Base point : OS 개념 커널을 설명하기 위해 일단 운영체제(OS : OperatinSystem)에 대한 개념을 이미 알고 있다는 가정하에서 글을 작성해본다. 모든 컴퓨터 머신 즉, 일반적인 데스크탑 PC, 스마트폰 ,태블릿 더 나아가 서버 장비들에는 기본적으로 메인보드가 존재하는데 이 메인보드의 이피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칩안에 바이오스(BIOS)라는 펌웨어(firmware)가 존재한다. BIOS = firmware 라고 기억하자. ※. 펌웨어? 갤럭시던 아이폰이던 스마트폰을 사용했을 때 자주 접했을 단어인 펌웨어 (firmware) 이는 제어 프로그램의 일종으로 하드웨어 내부에 위치한 소프트웨어이다. 이러한 펌웨어는 제품 생산시에 탑재된 이후에는 해당 프로그램을 변경하지 않는 것..

  • format_list_bulleted OS
  • · 2022. 11. 12.
  • textsms

Java - 대용량 데이터 적재 로직 설계시 유념할 사항

작성해야하는 로직이 대용량의 데이터를 특정 DB에 적재하는 로직을 설계해야 한다면 대용량의 데이터를 한번에 적재하는 것보단 데이터를 일정기준으로 끊어서 적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메모리 자원의 효율적 관리 한꺼번에 적재하게되면 적재해야할 데이터들을 Insert를 실행하기 전까지는 변수에 담고 있어야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양이 방대하면 방대할수록 너무나 많은 데이터를 변수에 담고 있기 때문에 메모리 자원을 너무 많이 점유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정기준을 두어서 데이터를 분할하여 Insert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담고 있는 변수를 비워주고 다음 분할량을 넣고 Insert하는 식으로해서 JVM에서 Heap 메모리나 Static 메모리 자원 등을 너무 많이 점유하지 않도록 해야한다. (예제 코드) import ..

  • format_list_bulleted Java
  • · 2022. 11. 4.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
  • 5
  • 6
  • 7
  • 8
  • 9
  • 10
  • 11
  • ···
  • 31
  • navigate_next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242)
    • 빅데이터 (9)
    • R + 통계 (7)
    • Python +머신러닝 (8)
    • DB + SQL (23)
    • 네트워크 (12)
    • Java (45)
    • C# (3)
    • JSP(JavaServerPage) (6)
    • HTML + CSS (4)
    • JavaScript (15)
    • JavaFx (1)
    • Git (9)
    • OS (7)
    • Python (0)
    • AI (5)
    • 도서 (7)
    • 경영 (7)
    • Spring (31)
    • ElasticSearch (12)
    • DesignPattern (2)
    • Docker (4)
    • React (11)
    • 개인정보보호 (2)
    • Spring Security (1)
    • Backend (5)
    • FreeMarker (1)
    • NodeJS (1)
    • 자료구조+알고리즘 (1)
    • 일기 (1)
최근 글
인기 글
최근 댓글
태그
  • #TDD #JunitTest
  • #Hadoop #RDBMS #NoSQL #MapReduce
  • #우선주
  • #빅데이터 #빅데이터의 특징 #빅데이터의 정의 #빅데이터란 #빅데이터특성 #3V #5V
  • #ApacheServer
  • #의존성주입 #DI #Spring
  • #메모습관 #신정철
  • #데이터 수집기술
  • #보통주와우선주
  • #보통주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