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글은 2019년 네이버 블로그 운영 당시 작성된 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마케팅원론에 대한 내용중 STP전략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할게요. 일반적으로 한 기업이 모든 소비자들의 필요와 욕구를 만족시킬수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사회가 발달하면서 소비자의 욕구와 구매행동이 매우 다양해졌으며 비슷한 제품들이 있더라도 소비자들의 개인 선호도, 구매상황, 개인의 위치등에 따라서 비슷한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각기 다른 제품을 구매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따라서 기업들은 전체시장을 다 공략하기보다는 자사가 가장 성공적으로 공략할 수 있는 세분시장을 선택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었는데 그 방식이 3단계를 거쳐 이루어져왔고 우리는 그것을 S..
이 글은 2018년에 작성 네이버 블로그운영했을 때의 글이며 티스토리 블로그로 넘어오면서 글도 같이 옮기는 중입니다. 글의 내용이 2018년에 작성된 것을 감안하고 최근에 추가하거나 수정된 부분은 날짜를 표기해놓았습니다. 해당 책을 읽으면서 도움이 되고 느낀점이 많았던 부분들만 정리해서 올려보고자 한다. 사람마다 감명을 받거나 느끼는 부분은 다를테니 지금 이렇게 포스팅에 올라온 글을 보고 이 책을 한번 읽어볼까? 라는 생각이 든다면 도서관이던 서점에서 한번씩 시간을 내어 읽어보도록 하자. 행복은 나를 이기는 순간 찾아온다. 행복해지려면 먼저 자신 안에 있는 낡고 부정적인 요소들을 과감하게 버리고 새롭고 긍정적인 요소들로 채워가야 한다. 우리에게는 저마다 꿈과 희망이 있다. 역경을 극복하고 그 꿈을 이루며..
이 글은 2018년에 작성 네이버 블로그운영했을 때의 글이며 티스토리 블로그로 넘어오면서 글도 같이 옮기는 중입니다. 글의 내용이 2018년에 작성된 것을 감안하고 최근에 추가하거나 수정된 부분은 날짜를 표기해놓았습니다. Chapter 1 데이터로 세상을 바꾸겠다는 꿈으로 글쓴이는 컴퓨터 과학을 전공함, 어릴적부터 컴퓨터와 게임을 좋아했다는 이유로 대학에서 선택한 전공이었으며, 단순히 조금더 깊이 있는 공부를 해보고 싶다는 생각으로 계속하다보니 결국 박사까지 됨. 지도교수의 연구분야가 생물정보학으로 바뀌면서 데이터분석이라는 분야와 인연을 맺게됨 글씬이는 박사 학위연구 주제가 단백질 상호작용의 지도에 관한 것이었음 생물을 자동차에 비유한다면, 단백질은 엔진이나 브레이크처럼 자동차의 부품과 같은 것들이며 이..
하버드의 생각수업이란 책중 일부분에 대한 생각을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1. 자유란 무엇인가? 19세기 영국의 철학자이자 경제학자인 '존 스튜어트 밀' 아마 공리주의에 대해서도 얘기했던 사람으로 기억한다. 그의 의 대략적인 주장은 "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한 인간은 자유롭다"라 할 수 있다고 한다. 마치 풍선이 누구와 접촉하지 않는 한은 어쨌든 자유이며, 무엇을 하든 상관없다. 그러나 풍선이 커지면 반드시 옆사람과 접촉하게 된다. 그때는 역시 어떤식으로든 조정이 필요하며 자유는 자연스럽게 제한된다. 흔히들 우리는 자유에는 책임이 따른다고들 한다. 책의 내용은 대충 이러하다. "사회는 의무를 지키기 위해 만들어진 계약에 따라 성립된 것이 아니다" "사회의 보호를 받는 이상 그 은혜를 갚을 의무가 있으..
위 책을 읽고 나서 간단하게 읽고 느낌점이나 도움이 될만 한 구절들을 정리하고자한다. 책의 전반적인 내용보다는 메모의 중요성에 대해 적힌 글중 와닿는 부분과 간단하게 메모하는 법에 대해서 정리하는 글이다. '사람들의 현재는 평범이라는 이름의 일상으로 채워지고 그 일상은 순식간에 과거가 되고 그 과거의 기억에 주로 아쉬움과 후회라는 타이틀이 붙는다.' '나의 하루도 그러했다. 별일 없이 살았다. 특별히 뭔가 부족하다는 것 느끼는 것 없이 적당히 즐기며 살았다. 오늘날 우리는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에 발달로 특별 할 것 없는 일상을 좀 더 특별하게 내보이고 인증하는 일에 익숙하다. 일상의 여러장면들 중 잘나온 장면으로 타림라인을 치장하면서 피상적인 확인과 위안을 받고 싶어한다. 우리는 왜 그럴까? ..
자바스크립트에서 toggle() 메소드는 on/offf 할 수 있도록 즉 스위치를 켰다 껐다 하는 기능을 한줄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click 이벤트에 classList()를 사용하여 css style을 on/off 방식으로 추가/제거 할 수 있게된다. 아래의 예제코드를 확인해보자. function handleh1Clicked(){ const clickedClass = "clicked"; if( h1.classList.contains(clickedClass)){ h1.classList.remove(clickedClass); }else{ h1.classList.add(clickedClass); } } 위와 같이 원하는 HTML문서내의 태그가 classList에서 clicked 클래스를..